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2025년 1차 에너지 국민인식조사」 결과 발표

이승범 기자 / 기사승인 : 2025-04-26 13:23:29
  • -
  • +
  • 인쇄
에너지 현안 전기요금 안정화(36.5%), 탄소중립 목표달성(24.4%), 전력망 안정화, 에너지 안보(각 17.0%) 순
원전 안전성에 대하여 일반 국민 응답자의 75.5%가 ‘안전’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대표이사 이주수, 이하 재단)은 「2025년 1차 에너지 국민인식조사」 결과를 4월 25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에너지 현안, 전력수급기본계획과 에너지·원자력 관련 인식 조사가 포함되어 있다.

재단은 여론조사기관 ㈜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에 의뢰해 전국 만 18세 이상 국민 2,000명을 대상으로 면접원을 통한 전화조사를 진행하였다.(각 조사의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2%p)
국민들이 생각하는 에너지 현안은 전기요금 안정화(36.5%), 탄소중립 목표달성(24.4%), 전력망 안정화, 에너지 안보(각 17.0%) 순이었다.
국민들은 현재 전기요금 관련하여 현행 유지(49.0%), 요금 인하(28.4%), 요금 인상(21.0%)에 대한 의견을 보였다. 요금 인상이 필요한 분야는 산업용, 요금 인하가 필요한 분야는 주택용으로 나타났다.
2025년 2월에 발표된 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실현 가능성에 있어 ‘낮음’이 43.6%, ‘높음’이 40.4%로 나타남.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2038년 우리나라의 에너지원별 발전량 비중은 원자력 35%, 재생에너지 29%, LNG 11%, 석탄 10%, 수소 및 신에너지 10% 비중을 계획하고 있다.
실현 가능성이 낮은 이유(1순위 기준)로는 에너지 정책의 일관성 부족 (43.9%), 실현 가능성이 높은 이유(1순위 기준)로는 전력 산업의 기술 발전(43.9%)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원자력 관련 조사 결과는 국민 10명 중 8명이‘원자력발전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2023년 재개한 조사 후 가장 높은 수치인 87.0%이며, 꾸준한 상승 추이를 보이고 있다.
원전 안전성에 대하여 일반 국민 응답자의 75.5%가 ‘안전하다’고 답했으며, 71.2%가 ‘국내 원전의 방사성폐기물의 관리 안전성’에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조사 결과 또한 2023년 조사 이후 가장 높은 수치이며, 안전성에 대한 국민의 인식 수치가 상승 추이를 보이고 있다.
기술 전반에 대한 신뢰(37.6%), 전 세계적 운전(22.6%), 철저한 안전관리(20.7%) 등의 이유로 국내 원전은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원전 계속운전에 대해서는 일반 국민 응답자의 70.9%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국내 원자력 발전량에 대해서는 60.1%가 현재보다 ‘늘려야 한다’고 응답했다.
* 원전 계속운전 의견 : ‘찬성한다’ 70.9%, ‘반대한다’ 25.5%, ‘모름/무응답’ 3.6%
* 원자력 발전량 증감 의견 : ‘늘려야 한다’ 60.1%, ‘줄여야 한다’ 35.8%, ‘모름/무응답’ 4.1%
거주하는 지역에 원자력발전소가 건설될 경우, ‘반대할 것’이라는 응답이 51.3%로, ‘찬성할 것’ 46.2% 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대 이유로는 ‘방사능 노출에 대한 위험 우려’가 가장 높게 나타난 한편, 찬성 이유로는 ‘에너지 자립을 위해 필요’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 찬성 이유 : ① ‘에너지 자립을 위해 필요‘(48.0%), ② ‘지역경제 및 산업 활성화’(25.8%), ③ ‘인구 유입 및 일자리 창출’(17.7%), ④ ‘지역 주민에 대한 보상’(6.0%) 순
* 반대 이유 : ① 방사능 노출 위험 우려’(60.0%), ② ‘원전 건설에 따른 환경훼손 우려’(23.6%), ③ ‘지역발전 저해 및 재산 가치 하락우려’(9.2%), ④ ‘생업에 대한 피해 우려’(4.0%) 순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시급성의 경우, ‘시급하다’ 응답이 91.8%로, ‘시급하지 않음’ 5.1%보다 높게 나타났다.
해외 원전사업이 국내 원전 산업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긍정적’ 응답이 76.4%로, ‘부정적’ 18.4%보다 높게 나타났다.
에너지정보문화재단 이주수 대표이사는 “국민의 대다수가 원자력의 필요성과 안전성에 공감했다는 결과는 매우 의미 있다. 앞으로도 국민과 소통을 강화하고, 국민 신뢰를 기반으로 한 에너지 문화를 만들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HEADLINE NEWS

에너지

+

IT·전자

+

환경·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