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보고서,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2개월 만에 0.5%포인트 높인 3.6%로 전망

차성호 기자 / 기사승인 : 2021-03-26 12:04:23
  • -
  • +
  • 인쇄
코로나19로 인한 위험 요소 점진적으로 줄고 외부 수요 커진 것이 상향 이유


국제통화기금(IMF)이 정부와의 연례협의 보고서를 통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3.6%로 전망했다.
2개월 만에 0.5%포인트 높인 것이다.
IMF는 지난 1월 전망치를 발표한 이후 일부 회원국과의 연례협의를 거쳐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조정했다.
우리나라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위험 요소가 점진적으로 줄고 외부 수요가 커진 것이 상향 이유인 것으로 밝혀졌다.
당초 성장률 전망치를 3.4%로 결정했다가 최근 발표된 정부의 추가경정예산(추경)의 영향을 반영해 3.6%로 상향 전망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3.3%와 한국은행의 3% 전망치보다 높은 수준이다.
IMF는 한국의 향후 경제 전망에 대한 평가도 내놓았다.
경제활동이 첨단 기술 제품 중심의 수출 회복과 기계·설비 분야의 탄력적인 투자를 기반으로 회복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서비스업과 소비가 지지부진하고 고용시장이 코로나 이전 수준보다 어려운 것은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IMF는 앞으로도 확장적 재정정책을 유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번 추경과 같이 “피해를 본 근로자와 기업에 선별지원이 필요하다”며 “올해의 재정 확대로 인한 재정 충격은 앞으로 몇 년에 걸친 점진적인 재정건전화로 상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정부가 따를 재정준칙은 독립적인 위원회를 구성해 이행 여부의 감시 필요성을 지적했다.
또 가계 부채의 급격한 증가 흐름은 관리가 필요하지만 경제 회복이 공고해질 때까지 중소기업 등에 대한 유동성 지원을 이어가야 한다고 권고했다.
IMF는 국제유가 상승에도 올해 한국의 물가상승률을 1.2% 수준으로 전망했다.
여기에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의 불확실성은 여전히 높다는 전제하에 앞으로 코로나19 재확산과 백신 접종 속도의 둔화 등이 한국 경제의 위험 요인이 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기획재정부는 “우리 정부가 확장적 재정·통화·금융정책으로 세계적인 경기 회복 양상에서 차별화에 성공했다”며 “IMF의 정책 권고가 정부의 방향과 부합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4차 재난지원금 등 추경의 빠른 집행으로 경기 회복을 꾀하면서 한국판 뉴딜 추진을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부연했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HEADLINE NEWS

에너지

+

IT·전자

+

환경·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