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2050년까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올 하반기부터 탄소중립형 스마트 물관리에 나선다.
지난달 열린 ‘2021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P4G)’ 물 기본세션에서 제기된 ‘탄소중립 스마트 물관리’ 논의와 국제사회 실행촉구에 따른 후속 사업의 일환이다.
환경부는 수열에너지, 수상태양광 등 물을 활용한 신재생에너지를 적극적으로 보급·확산해 화석연료 사용을 절감하고 물 분야 탄소중립을 촉진하기로 했다.
수열에너지 부문으로 강원도 춘천에 수열 융복합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공공 건축물에도 수열을 시범적으로 도입한 후 민간 영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에너지를 많이 소비하는 데이터센터에 댐 심층수를 활용한 수열에너지 도입 방안을 검토해 ‘재생에너지 사용 100%(RE100) 지향 산단’ 조성을 추진한다.
댐 수면에 설치하는 수상태양광은 2023년까지 합천댐, 군위댐 등 5곳 수면에 147.4㎿급 수상태양광 8개 사업을 착공한다.
2030년까지 주민 수용성을 높여 2.1GW 규모로 확대한다.
물관리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정보통신기술(ICT),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이 분야에도 적용한다.
댐 안전관리 부문은 드론,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등을 활용해 ‘스마트 댐 안전관리체계를 갖추기로 했다.
2025년까지 전국 37개 댐에 실시간 감시 시스템 등 댐 안전관리 플랫폼을 구축한다.
상·하수도 분야는 인공지능(AI), 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국가 상·하수도 전 과정을 실시간 감시·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관리 체계를 구축한다.
2023년까지 광역정수장 43곳, 지자체·광역 상수도 관망시설 161곳, 2024년까지 하수관로 10곳과 처리장 15곳을 스마트화 할 계획이다.
대전 옛 대덕정수장에는 디지털 물관리 기술 연구·실증 시설을 조성하고 시설 개선 후에 건물 일체형 태양광(BIPV) 등 신재생에너지를 적극 도입한다.
대전시, 수자원공사, 한국과학기술원·충남대 등과 함께 산·학·연 협력체계도 구축한다.
탄소중립 스마트 물관리의 신속한 제도적 안착을 위해 관련 법령·사업의 개편도 추진한다.
댐 주변지역 지원사업에 지역주민 참여를 이끌고, 지속가능한 통합하천관리 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댐 건설 및 주변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과 ‘하천법’을 개정할 계획이다.
김동진 환경부 수자원정책국장은 “탄소중립 물관리는 국제사회 모두가 지향해야 하는 의무”라며 “물 분야에서도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활용, 스마트체계 구축 등 관련 사업을 지속해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