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물질 순환과 폐기물 분해 과정의 역할 수행하는 고온성 미생물 발견

이재철 기자 / 기사승인 : 2020-07-09 11:42:12
  • -
  • +
  • 인쇄
국립생물자원관과 신라대 미생물 256균주 발견 기능성 유전자 확인

[에너지단열경제]이재철 기자 

국내 온천, 두엄 등에서 분리된 고온성 원핵생물 신종 및 미 기록종의 전자현미경 사진.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이상재 신라대 교수팀과 함께 50~60도에서 생장 속도가 높은 신종 3종 및 미 기록종 9종을 포함한 미생물 256균주를 발견하고 기능성 유전자를 확인했다.
이번에 발견된 고온성 미생물은 환경 물질 순환과 각종 폐기물 분해 과정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생물산업 소재로도 활용할 수 있다
연구진은 능암탄산온천, 백암온천 등 고온 환경에서 얻은 61개 시료에서 미생물 256균주를 분리 배양하고 다양한 기능성 유전자를 확인했다.
분리된 고온성 균주들은 50~60도 사이에서 생장 속도가 최고로 나타났다.
애리바실러스 팔리더스(Aeribacillus pallidus)는 65도 이상에서도 생장하고 높은 단백질 분해력을 보였다.
전남 보성 두엄에서 분리된 바실러스 써모코프리애 DUT50-236은 50도 이상의 고온과 6% 염분 농도에서 잘 자라며 대장균을 억제하고 식물 생장을 촉진하는 옥신 생성 관련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이 발견한 균주 중에는 마이크로박테리움(Microbacterium) 속 세균 등 신종 3종과 브레이비바실러스 림노필러스 등 국내 미기록종 9종도 포함됐다.
국립생물자원관 관계자는 “이번에 발견된 고온성 미생물은 환경 물질 순환과 각종 폐기물 분해 과정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생물산업 소재로도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단백질 분해력이 높은 고온성 원핵생물은 콩기름을 추출해서 나오는 부산물인 대두박을 가축 사료로 사용하기 위한 발효 과정이나 조류독감·구제역 등 가축 매몰지 사체 분해를 촉진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배연재 국립생물자원관장은 “새로운 고온성 미생물자원은 산업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후변화 등 환경 문제 해결에 활용할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며 “환경 보전을 위한 생물자원의 발굴과 활용 가치 증진을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HEADLINE NEWS

에너지

+

IT·전자

+

환경·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