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단열경제]안조영 기자
루테늄 및 탄소 지지체 촉매 합성 모식도./UNIST 제공.
UNIST(총장 이용훈)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의 김건태 교수팀이 물 전기 분해와 같은 전기화학 반응에서 산도(pH)를 가리지 않고 안정성이 뛰어난 루테늄 기반 촉매 개발에 성공했다.
저렴한 탄소화합물과 루테늄(Ru)금속을 이용한데다 우수한 안정성도 지니고 있어 귀금속인 백금(Pt)을 대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또 백금 촉매의 경우 염기성 전해질에서 내구성이 떨어지는데, 이번 촉매는 산성과 염기성뿐만 아니라 중성 용액에서도 잘 작동해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고 수소와 전기를 생산하는 ‘수계 금속(아연)-이산화탄소 시스템’에도 적용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수계 금속(아연)-이산화탄소 시스템은 김건태 교수팀이 이전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으로 수용액 내부는 이산화탄소가 포화된 중성 상태이다.
물의 전기화학 반응을 위해서는 염기성이나 산성 전해질을 첨가한다.
이 때 반응에 필요한 에너지를 줄여주기 촉매를 사용한다.
효율성과 함께 장시간 동안 작동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갖춘 촉매가 필요하다.
통용되는 백금의 경우 효율은 높지만 염기성에서 쉽게 부식돼 내구성이 떨어진다.
연구팀은 루테늄 금속을 2차원 탄소 물질인 ‘그래핀’의 ‘에지(edge)’에만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방법을 이용해 효율은 높으면서도 전 범위의 산도(pH)에서 내구성이 강한 루테늄 기반 촉매 구조를 개발했다.
루테늄 금속을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하는 그래핀의 가장자리에만 질소를 도핑(doping)하면, 루테늄이 질소를 따라 가장 자리 부분에만 결합하는 현상을 이용했다.
질소는 전자를 받으려는 성질이 강하고 루테늄은 전자를 주려는 성질이 강하기 때문이다.
이번에 개발된 촉매를 물 전기 분해 시스템과 수계 금속-이산화탄소 시스템에 적용한 결과 우수한 수소 발생 반응성과 내구성을 확인했다.
물 전기 분해 시스템에서는 산도에 관계없이 1,500시간 동안 시간 작동했다.
실제 실험 결과 수계 금속-이산화탄소 시스템에서 수소 발생 효율을 알 수 있는 전류밀도 값도 백금보다 높았다.
왼쪽부터 김건태 교수, 양예진 연구원, 백종범 교수, 김정원 연구원./UNIST 제공
김건태 교수는 “선택적 도핑을 통해 가격도 저렴하고 중성을 포함한 모든 산도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촉매를 개발했다”며 “이번에 개발된 촉매 구조는 이산화탄소가 포화된 중성 환경에서도 잘 작동하기 때문에 물 전기 분해 시스템뿐만 아니라 수계 금속-이산화탄소 시스템의 상용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에너지 분야 국제학술지 나노에너지(Nano Energy)에 7월 6일자로 온라인 공개됐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