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조선업 5월 수주량 1위 회복

김정관 / 기사승인 : 2019-06-11 11:10:09
  • -
  • +
  • 인쇄
LNG운반선 발주 지속…석달 만에 중국 제치고 1위

[에너지단열경제]김정관 기자= 한국 조선업 수주 실적이 석달 만에 중국을 제치고 1위를 회복했다.


11일 조선·해운 분석기관 ‘클락슨 리서치’에 따르면 5월 세계 선박 발주량은 106만CGT(표준화물선 환산톤수), 34척으로 집계됐으며, 이 중 한국 조선사가 60%를 수주했다.


한국 조선사 수주량은 64만CGT·16척으로, 중국(27만CGT·8척)을 2배 이상 앞섰다. 중국은 비중이 26%에 그쳤다. 일본은 6만CGT·3척으로 3위다.


5월 세계 발주량은 전월(144만CGT·49척)에 비해 26% 줄었다.


올해 들어 5월까지 누계 발주량(941만CGT)은 작년 동기(1천522만CGT)의 3분의 2 수준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을 보면 작년엔 68% 증가했다가 올해는 다시 38% 감소했다.

 

▲ 이낙연 국무총리가 전남 영암군 대불산단 내 조선산업지원센터를 찾아 중소조선사 대표들, 대불산단 내 기업가들 등 참석자들과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 조선사의 주력인 대형 LNG(액화천연가스) 운반선 발주는 181만CGT·21척으로 작년 동기(182만CGT·21척)와 같은 수준이다.


반면 초대형 유조선(VLCC)과 벌크선(Capesize)이 43만CGT·10척, 92만CGT·27척으로 각각 73%와 51% 급감했다.


올해들어 5월까지 누계 수주실적은 중국이 406만CGT·166척으로 점유율이 43%에 달하며 1위다.


한국은 283만CGT·63척(30%)으로 2위이고 이어 이탈리아(111만CGT·14척(12%)), 일본(86만CGT·46척(9%) 순이다.


5월말 세계 수주잔량은 8천47만CGT로 한 달 전 보다 138만CGT 감소했다.


한국은 비슷한 수준(-5천CGT) 유지했지만 중국은 64만CGT, 일본은 56만CGT 각각 줄었다.


국가별로 수주잔량은 중국 2천947만CGT(37%), 한국 2천112만CGT(26%), 일본 1천409만CGT(18%) 순이다.


5월 클락슨 신조선가지수(Newbuilding Price Index)는 지난달과 동일한 131포인트를 기록했다.
선종별로는 유조선(VLCC)은 9천300만 달러로 전월과 같았고 컨테이너선(1만3천000~1만4천000TEU)은 50만 달러 떨어진 1억 1천150만 달러다.


LNG운반선은 50만 달러 오른 1억 8천550만 달러를 기록하며 지난해 2월 최저점(1억 8천000만 달러) 이후 상승세를 유지했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HEADLINE NEWS

에너지

+

IT·전자

+

환경·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