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그룹과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 RIST(포항산업과학연구원)가 ‘수소분야 연구협력 증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지난 18일 체결했다.
주 내용은 암모니아에서 수소를 대용량으로 추출하는 기술 개발을 추진하는 등 그린수소 사업 경쟁력을 제고한다는 것이다.
현재 수소를 운송하는 방법으로는 수소 액화, 암모니아 합성 등의 기술이 있으며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암모니아 합성법이 꼽히고 있다.
수소를 암모니아로 합성해 운송 시 기존 유통망을 활용할 수 있고 운송 과정에서 손실률이 적기 때문이다.
문제는 수소를 암모니아로 합성하는 기술은 이미 상용화됐으나 암모니아에서 다시 수소를 추출하는 기술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고 있다는 점이다.
포스코 등은 이번 협약을 통해 암모니아에서 수소를 대용량으로 추출하는 기술 개발을 추진키로 했다.
개발된 기술을 활용해 해외에서 생산된 그린수소를 국내 산업·발전용 원료 및 에너지원 등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KIST는 지난해 암모니아에서 고순도 수소를 추출하는 기술을 개발한 바 있으며, 이번 포스코와의 협력을 통해 암모니아에서 높은 효율로 수소를 추출할 수 있게 하는 촉매제 개발에 나설 예정이다.
RIST는 현재 국내에 갖춰지지 않은 대용량 암모니아 수소 추출 전체 공정을 상용급으로 개발한다.
포스코그룹은 지난해 12월 FMG에 이어 지난 8일 그린수소 활용에 필요한 암모니아의 국내 도입을 위해 호주 최대의 전력·가스기업인 오리진 에너지(ORIGIN ENERGY)와 ‘호주 그린수소 생산사업 협력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현재 오리진 에너지는 호주 태즈메이니아주에서 수력발전 500MW를 활용해 연간 7만 톤의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프로젝트를 개발 중이다.
포스코그룹과 오리진에너지는 올해까지 이번 프로젝트의 사업타당성 조사를 진행한 후 사업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호주 현지에서 생산된 수소를 암모니아로 합성하고 포스코그룹이 이를 도입하여 수소를 추출, 공급하는 방식이다.
그린수소 사업모델은 풍력·태양광발전 등 재생에너지로 만들어진 전력으로 물을 분해해 수소를 생산한 후 이를 암모니아로 합성해 운송 및 저장한다.
필요 시 다시 수소를 추출한 후 산업·발전용 원료 및 에너지원 등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한편 포스코는 2050년까지 수소생산 500만 톤, 수소매출 30조 원을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