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에 국내 성장률이 -1.0%에 그쳤지만 주요국 가운데 최상위권인 3위로 나타났다.
23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에 따르면 작년 한국의 실질 성장률(-1.0%)은 관련 자료가 발표된 15개 주요국 가운데 중국(2.3%), 노르웨이(-0.8%)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
OECD는 회원국과 중국,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등 비회원국이지만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국가의 성장률 발표치를 모아 공개하고 있다.
한국 다음으로는 인도네시아(-2.1%), 스웨덴(-2.8%), 미국(-3.5%), 일본(-4.8%), 독일(-5.0%), 프랑스(-8.2%), 영국(-9.9%)과 스페인(-11.0%) 순이다.
OECD는 중국과 한국 등이 코로나19 상황에서도 제조업 강국으로 수출 등이 유지되면서 상대적으로 충격이 덜했던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노르웨이는 제조업 비중이 높진 않지만 방역조치 덕에 선방했다.
인구 10만명 당 확진자 수가 유럽에서 핀란드 다음으로 가장 적다.
우리나라는 반도체 등 주력의 수출이 회복한 것이 역성장 폭을 줄이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보인다.
또 정부 재정지출 영향도 있었다.
지난해 민간 부문에서는 -2%로 하락했지만 정부는 1.0%의 성장률을 보였다.
민간소비가 위축됐지만 추가경정예산 등 확장재정이 성장률 급락을 완화하는 데 기여했다.
한편 OECD는 올해 중국이 연 8.0% 성장하며 50개국 가운데 성장률이 가장 높게 나타날 것으로 예측했다.
프랑스(6.0%), 스페인(5.0%)도 기저효과 영향 등으로 상대적으로 급반등할 것으로 예상했다.
우리나라는 2.8% 성장해 29위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