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자동차 배터리 6분 만에 90% 충전할 수 있는 기술 개발

차성호 기자 / 기사승인 : 2020-10-20 10:25:03
  • -
  • +
  • 인쇄
포항공대와 성균관대 공동 연구팀, 이차전지 충·방전 상변이 과정에 중간상 형성시켜

[에너지단열경제]차성호 기자

 
포항공대(포스텍) 신소재공학과 강병우 교수, 김민경씨 등 연구팀과 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윤원섭 교수팀이 공동으로 전기자동차를 6분 만에 90% 충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의 핵심 기술은 전극 물질 입자 크기를 줄이지 않고도 충·방전 상변이 과정에 중간상을 형성하면 고에너지 밀도 손실 없이도 빠른 충·방전이 가능하다는 것을 밝혀낸 것이다.
상변이 과정은 전극 물질 중 상전이 물질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충·방전 시 리튬이 삽입·탈리되면서 물질 기존 상이 새로운 상으로 변하는 것이다.
그동안 전기차 배터리(이차전지)에 빠른 충·방전을 하기 위해 전극 물질 입자 크기를 줄이는 방법을 사용했다.
하지만 입자 크기를 줄이면 이차전지 부피 에너지 밀도가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연구팀은 합성한 이차전지 전극입자를 이용해 입자 크기를 줄이지 않고도 빠른 충·방전이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했다.
6분 만에 90%까지 충전되고 18초 이내에 54%를 방전하는 성능을 보여 고출력 이차전지 개발 기대감을 높였다.
강병우 교수는 "기존 접근법은 빠르게 충·방전할 수 있도록 입자 크기를 줄이다 보니 에너지 밀도 저하가 문제였다"며 "이번 연구 성과를 통해 빠른 충·방전, 높은 에너지 밀도, 오랜 성능 유지 시간 등을 모두 충족할 수 있는 이차전지를 개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이 연구 성과는 재료 분야 국제학술지 `에너지 앤드 인바이런멘털 사이언스` 최근호에 실렸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HEADLINE NEWS

에너지

+

IT·전자

+

환경·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