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과 같이 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 전기 생산할 수 있는 압전발전기 개발

이재철 기자 / 기사승인 : 2021-04-21 10:12:37
  • -
  • +
  • 인쇄
인하대 정종훈 교수 연구팀, 고분자량 화합물 전기분극 방향과 금속 전극의 배열 최적화 통해

왼쪽 상단부터 시계방향으로 인하대학교 물리학과 진다운, 고영준, 이태권, 정동근 연구원과 정종훈 교수/인하대학교 제공


인하대학교 물리학과 양자기능성물질연구실 정종훈 교수 연구팀이 화성과 같이 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압전발전기를 개발했다.
압전발전기는 공간대칭성이 깨진 물질에 외력이 가해질 때 발생하는 전하를 이용한 장치로 작고 느린 역학적 진동에서도 큰 전력을 생산해 낼 수 있다.
하지만 상온, 상압과 같이 일반적인 환경에서만 주로 사용돼 왔다.
연구팀은 강유전성 폴리머(고분자량 화합물)의 전기분극 방향과 금속 전극의 배열을 최적화해 섭씨 영하 266도의 극저온, 10-5토르(Torr)의 저압, 10W의 자외선 하에서도 매우 큰 전력을 안정적으로 발생시켰다.
이어 화성과 유사한 상황(섭씨 영하 50도, 5토르의 이산화탄소, 46W/㎡의 자외선 세기)에서 인체의 미세한 진동으로 LED를 구동할 수 있을 정도의 전력이 생성됨을 보였다.
정종훈 인하대 교수는 “화성이 우리에게 점점 가까워지고 있다. 극한 상황에서 압전 발전기의 효율과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물리적 요인을 최적화해 ‘마션(Martian)’을 현실화하는 데 기여하고 싶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 ‘스몰(Small)’에 지난 8일 자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HEADLINE NEWS

에너지

+

IT·전자

+

환경·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