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 미생물 이용, 이산화탄소 메탄 전환 기술 개발

안조영 기자 / 기사승인 : 2020-02-01 07:58:45
  • -
  • +
  • 인쇄
한전 전력연, 5kW급 생물학적 메탄화 테스트베드 설비 구축
발전 연료, 수송 연료, 도시가스 등으로 활용
온실가스 저감 및 전력수급 안정화 기여 전망


[에너지단열경제]안조영 기자


한국전력(사장 김종갑) 전력연구원이 국내 최초로 미생물을 이용해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메탄으로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5kW급 테스트베드 설비’를 구축했다.
이산화탄소 메탄화 기술은 발전소 등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와 재생에너지로부터 생산한 수소를 미생물을 통해 그린 메탄(Green Methane)으로 전환하는 대표적인 전력가스화(P2G, Power to Gas) 기술이다.
생산된 메탄가스는 발전 연료, 수송 연료, 도시가스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전력연구원은 메탄 생성 효율이 1.7배 이상 높은 신종 메탄화 미생물 2종을 독자 개발하고 이를 적용해 국내 최초로 연간 36t의 이산화탄소를 전환할 수 있는 5kW급 메탄화 테스트 베드를 순수 국내 기술로 구축했다.

전력연구원은 테크로스워터앤에너지, 한양대학교, 고등기술연구원 등과 공동으로 2017년부터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이산화탄소 메탄화 기술을 개발해 왔다.
현재 국내의 신재생 발전 확대에 따라,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태양광, 풍력의 출력 변동을 뒷받침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에서 큰 성과로 평가 받고 있다.
전력연구원은 재생전력으로 생산된 수소와 화력발전 등에서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활용, 대용량 장주기 에너지 저장이 가능한 그린 메탄으로 변환하는 기술을 개발, 기존 에너지 저장장치의 한계를 극복했다고 밝히고 있다.
또 수MW급 규모의 메탄화 공정으로 확대 가능한 설계기술도 확보하고 연구 성과를 국내 기업에 기술 이전했다고 설명했다. 

전력연구원은 이번 기술 개발과 함께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부정책과 연계하여 ‘수소의 메탄화 공정 모듈화 기술 개발’ 정부과제를 착수하고, 향후 한전에서 추진 중인 P2G 기반 한전 마이크로그리드와 연계한 실증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전력연구원 관계자는 “국내 기술 100%로 달성한 메탄화 기술 개발은 온실가스 저감과 재생에너지의 대용량 장주기 저장을 통한 전력수급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HEADLINE NEWS

에너지

+

IT·전자

+

환경·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