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단열경제]이재철 기자
높은 에너지전환효율은 물론 저온의 용액공정으로 제작할 수 있어 가성비 좋은 차세대 태양전지 후보로 꼽히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낮은 광 안정성을 극복할 실마리가 나왔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김희주·이광희 교수 연구팀이 표면 재결정화를 통해 페로브스카이트 박막 표면의 결함을 제거, 광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페로브스카이트 결정구조를 갖는 유기물과 금속의 혼합체 기반 박막형 태양전지로, 빛을 잘 흡수하고 흡수할 수 있는 빛의 영역대가 넓다.
상용 실리콘 태양전지에 버금가는 에너지전환효율을 갖고 있지만 빛이나 열, 공기, 수분에 취약해 소자 안정성이 낮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금속이온을 추가하거나 산화피막을 도입, 페로브스카이트 결정을 단단하게 만들어 안정성을 높이려는 시도가 있었다.
하지만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 자체의 안정성이 아닌 박막으로 제조하는 공정을 개선하는 데 집중했다.
태양전지 구동을 위해 빛을 쬐면 결정을 박막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생겨난 결함들이 박막 표면으로 이동, 전극을 부식시키는 것 자체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팀은 빛에 반응해 페로브스카이트 박막 표면으로 이동한 결함들을 흡착할 유기물로 된 기능층을 도입했다.
유기물층을 씻어내 결함을 제거한 뒤 새로운 유기물층과 전극을 연결해 태양전지로 재사용하는 방식이다.
실제 결함이 제거된 페로브스카이트 박막으로 만든 태양전지는 1천 시간 동안 자외선이 포함된 태양광에 노출되거나 85℃의 열에 노출되어도 소자성능이 80% 이상 유지됐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상용화의 걸림돌인 광안정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아낸 이번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팀은 향후 페로브스카이트 표면의 결함을 빠르게 제거하는 양산화 기술에 대한 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다.
한편 과학기술정통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기초연구실사업(글로벌연구실사업)과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의 지원으로 수행한 이번 연구성과는 환경과학 국제학술지 '에너지 엔 인바이런멘탈 사이언스'에 지난달 17일 게재됐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