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원전과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배출 여유분으로 달성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4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업무보고를 통해 탄소중립 이행 방안으로 “새 정부 에너지 정책방향과 연계해서 원전과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확보한 배출 여유분으로 산업 등 부문별 목표의 실현 가능성을 높여서 국가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또 “탄소 국경세와 같은 무역장벽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 기업이 선제적으로 체질을 개선하도록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고도화하고 감축 활동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대기와 물환경 관리 분야에 대해선 초미세먼지 관리와 낙동강 수계 취수원 다변화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초미세먼지 농도를 30% 줄이기 위해 산업, 수송 등 부문별로 과학적인 감축방안을 마련하고, 지원대책을 병행해 부담도 최소화한다는 입장이다.
고농도 상황에 대비해 계절관리제 기간을 늘리고, 예보를 이틀 전으로 앞당길 계획이다.
순환경제와 관련해서는 “순환경제를 실현하기 위해 재활용이 쉬운 제품을 생산하도록 유도하고, 플라스틱 등 폐자원의 선별률을 높여서 폐자원 공급과 재활용을 확대하겠다”며 “폐기되는 전기·전자제품과 배터리에서 희소금속을 추출, 재활용함으로써 자원 안보에도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이외에 반도체 공정에 사용되는 초순수 기술의 국산화, 2030년까지 무공해차 450만대 보급, 그리고 폐비닐 열분해유를 석유 대체 원료로 활용하는 등 우리나라 주요 수출 분야를 환경측면에서도 지원하게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에너지단열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