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thumbimg

친환경 바이오플라스틱 소재 개발 및 친환경 대체재 개발 기술 세미나 개최
정두수 기자 2021.04.10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이 5월 14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사파이어홀에서 ‘친환경 바이오플라스틱 소재 개발 및 산업 적용방안-바이오플라스틱 소재별 특성과 친환경 대체재 개발기술’ 세미나를 온·오프라인으로 병행해서 개최한다.이번 세미나 ...

thumbimg

가스 탐지 정보 신속하게 알리고 가격도 저렴한 초소형 웨어러블 홀로그램 센서 개발
이재철 기자 2021.04.10
가스센서 이미지/POSTECH 제공POSTECH(포항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통합과정 김인기씨 연구팀과 화학공학과 김영기 교수·통합과정 김원식씨 연구팀이 가스 탐지 정보를 신속하게 사용자에게 알려주면서 가격도 저 ...

thumbimg

롯데케미칼, 국내 업계 처음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기술 개발을 위한 실증 설비 설치
정두수 기자 2021.04.09
여수1공장에 설치한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제어실(왼쪽)과 전처리, 분리실증설비/롯데케미칼 제공롯데케미칼이 국내 석유화학업계에서 처음으로 기체분리막을 적용한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기술 개발을 위한 관련 실증 설비를 지난 ...

thumbimg

후쿠시마 원전 방사성 오염수 안전하면서 경제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술 찾았다
이재철 기자 2021.04.07
단단한 구조 및 유연한 구조에서의 수소 동위원소 확산계수 비교/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국내 연구팀이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버려진 방사성 오염수에 포함돼 있는 방사성 삼중수소를 보다 안전하면서 경제적으로 분리해낼 수 있는 기술의 실마 ...

thumbimg

나노 미세물질 포착하는 포집기술과 테라헤르츠파 증폭기술 결합한 광-전기 집게 개발
이재철 기자 2021.04.05
전기 집게(금색·파랑·금색 적층구조)의 역할을 하는 수직방향의 금속전극(금색)이 물속에서 부유하는 미량의 초미세 플라스틱 및 생체분자 모사체(붉은색 점)를 포집하는 모습과 초미세 플라스틱 입자의 양과 종류에 따라 테라헤르츠 신호가 변 ...

thumbimg

미세먼지 만드는 일산화질소, 나일론 최초 원료 하이드록실아민(NH2OH)으로 전환 기술 개발
안조영 기자 2021.03.30
연료전지 시스템 내 일산화질소 전환 및 하이드록실아민 생산량 결과.(왼쪽)기존 기술 수준과 연구진이 개발한 신기술의 결과 비교.(오른쪽)외부 에너지 공급 없이 50시간동안 안정적으로 하이드록실아민을 생산한 도표/GIST 제공광주과학기 ...

thumbimg

2차원 반도체 결함 나노주름, 제어하면서 수 나노미터 수준 정밀도 관찰 성공
차성호 기자 2021.03.24
현미경의 작동형태와 시각화된 인장 변형률 및 엑시톤 분포도/UNIST 제공울산과학기술원(UNIST) 물리학과 박경덕 교수팀이 자체 개발한 ‘능동형 탐침 증강 광발광 나노현미경’을 이용해 2차원 반도체 결함인 나노주름를 제어하면서 수 ...

thumbimg

현대차그룹, 미래 충전 비전 제시하는 신규 브랜드 ‘E-pit’ 공개
정두수 기자 2021.03.23
현대차그룹이 초고속 충전인프라 20개소 120기 구축을 시작으로 충전 생태계 플랫폼 육성계획 등 미래 충전 비전을 제시하는 신규 브랜드 ‘E-pit’를 공개했다.‘E-pit’은 충전과 관련된 모든 서비스를 쉽고 빠르게 제공하는 충전 ...

thumbimg

국내 산학연, 암모니아에서 수소 대용량으로 추출하는 기술 개발 추진
이재철 기자 2021.03.20
포스코그룹과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 RIST(포항산업과학연구원)가 ‘수소분야 연구협력 증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지난 18일 체결했다.주 내용은 암모니아에서 수소를 대용량으로 추출하는 기술 개발을 추진하는 등 그린수소 사업 경쟁 ...

thumbimg

액상과 고체 함께 쓰는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합성 기술 개발
이재철 기자 2021.03.08
화학 기상 증착(CVD) 방법을 통한 몰리브데넘 다이셀레나이드 합성.촉진제를 포함한 액상 전구체 기반 화학 기상 증착 방법 모식도(a).촉진제 농도에 따른 몰리브데넘 다이셀레나이드(b)의 광학 이미지와 XPS 분석(c,d)/UNIST ...

thumbimg

체온과 온도차 이용, 반영구적으로 전기 생산할 수 있는 고효율 유연 열전모듈 개발
이재철 기자 2021.03.03
연구결과가 게재된 에너지분야 국제 학술지인 ‘나노 에너지’ 3월호/KIST 제공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전북분원 복합소재기술연구소 김진상 분원장팀이 체온과 외부 온도차를 이용해 반영구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고효율 유연 열전 ...

thumbimg

배터리 내 하이니켈 수명 20% 늘리고 상온에서 입자 표면에서 내부까지 코팅하는 혁신 기술 개발
이재철 기자 2021.03.02
개발된 코팅법을 적용한 양극재를 썼을 경우 배터리 수명 유지 효과./UNIST 제공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조재필 특훈교수 연구팀이 미 MIT 대학 쥐 리(Ju Li) 교수팀과 공동으로 배터리 수명을 저해하는 양극재 ...

thumbimg

포스텍, 울산대 공동 연구팀, 인간의 손보다 뛰어난 감각 가진 ‘인공 전자 피부’ 개발
이재철 기자 2021.02.23
물체의 종류 및 재질 구분 모식도와 인공 전자 피부 구조/포스텍 제공포스텍 화학공학과 조길원 교수, 울산대 화학과 이승구 교수 공동 연구팀이 인간의 손보다 뛰어난 감각을 가진 ‘인공 전자 피부’를 개발했다.인간의 손가락 감각을 모 ...

thumbimg

현대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등 친환경적 관리 위한 사업 본격적으로 나선다
정두수 기자 2021.02.18
정세균 총리와 정의선 회장 등 업무협약 참석자들이 배터리 사업에 관한 설명을 듣고 있다/현대차 제공현대자동차가 전기 택시 구매 초기 비용을 낮추는 한편, 사용 후 배터리의 친환경적 관리를 위한 사업에 본격적으로 나선다.현대차는 18일 ...

thumbimg

현대차그룹과 포스코그룹 ‘수소 사업 협력에 관한 업무협약’ 체결
정두수 기자 2021.02.17
현대차그룹과 포스코그룹은 지난 16일 포항 포스코 청송대에서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수소 사업 협력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양사는 수소에너지 활용 기술 개발 포스코 제철소 운영차량 ...

thumbimg

인공지능 기술로 퀀텀닷 및 반도체 소자의 양자 효율과 화학적 안정성 정밀 분석 성공
이재철 기자 2021.02.17
상용 퀀텀닷의 투사 데이터와 개발한 알고리즘으로 복원한 3차원 복원 결과/KAIST제공한국과학기술원(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예종철 교수 연구팀이 삼성전자 종합기술원과 공동연구를 통해 나노입자의 3차원 형상과 조성 분포의 복원 성 ...

thumbimg

KIST, 부산대 공동 연구팀, 탄소나노튜브-폴리이미드로 구성된 투명전도성 필름 개발
차성호 기자 2021.02.16
폴더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유연성/부산대학교 제공한국과학기술원(KIST) 이필립 박사, 부산대학교 전일 교수 공동 연구팀이 한·일 공동연구를 통해 탄소나노튜브-폴리이미드로 구성된 투명전도성 필름을 개발했다.이를 통해 폴더블, 롤 ...

thumbimg

중국·일본에서 90% 이상 수입하는 마그네슘계 세라믹 원재료 자체 기술개발 나선다
이재철 기자 2021.02.05
마그네슘(Mg)계 세라믹 원재료 국내생산 시범사업/산업부 제공산업통상자원부가 '마그네슘(Mg)계 세라믹 원재료 국내생산 시범사업' 지원계획을 공고했다.중국·일본에서 90% 이상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마그네슘(Mg)계 세라믹 원재료의 ...

thumbimg

양자점 활용하는 반도체의 성능 저해하는 새로운 요인 ‘인트라밴드 오제현상’ 찾아냈다
차성호 기자 2021.02.04
오비탈 전자 분포 형상과 전자 충돌에 의한 인트라밴드 오제현상.밀도범함수 이론(DFT) 계산을 이용하여 얻은 전도대의 오비탈 구조(a) 및 오제현상에 대한 도식(b).기초과학연구원(IBS) 조민행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장(고려 ...

thumbimg

세계 최초로 전이금속 간 이종구조 대면적으로 구현, 저온공정과 높은 재현성 등 장점
차성호 기자 2021.02.03
2차원 전이금속 수직이종구조(MoS2-WS2)모식도와 시간대별 형성과정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김태성 교수, 석지원 교수, 한국기계연구원 김형우 박사 공동연구팀이 4인치 웨이퍼 크기의 이황화몰리브데넘-이황화텅스텐 수직이종구조 단일공정 제조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HEADLINE NEWS

에너지

+

IT·전자

+

환경·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