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thumbimg

우리나라, 달 탐사선 등 우주산업에 10년간 30조 투자 계획
안조영 기자 2022.05.02
송경민 KTSAT 대표의 주제 강연 모습/KPC한국생산성본부 제공우리나라가 독자적인 GPS위성 시스템 구축, 달 탐사선 등에 10년간 30조 정도를 투자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또 우주산업은 국가 주도의 올드 스페이스(Old Spa ...

thumbimg

중소벤처기업부, ‘산·학·연 플랫폼 협력기술개발사업’ 참여 중소기업 모집
안조영 기자 2022.04.25
중소벤처기업부가 ‘산·학·연 플랫폼 협력기술개발사업’에 참여할 중소기업을 모집한다.대학·연구기관을 산·학·연 협력의 핵심 거점으로 삼아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25일부터 6월7일까지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종합관리시스템 ...

thumbimg

에너지 37% 절약 가능한 두뇌의 신경 조율 활동 구현해 인공지능용 알고리즘 개발 성공
이재철 기자 2022.04.19
KAIST 신소재공학과 김경민 교수 연구팀이 에너지를 37% 정도 절약 가능한 두뇌 신경 조율 활동을 구현한 인공지능용 알고리즘 개발에 성공했다.인공 지능의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전력 소모 및 집적화 한계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선결 ...

thumbimg

사업장 당 최대 500억 지원 ‘2022년도 탄소중립 전환 선도프로젝트 융자지원 사업’ 공고
정두수 기자 2022.04.18
산업통상자원부가 사업장 당 최대 500억 원을 지원하는 ‘2022년도 탄소중립 전환 선도프로젝트 융자지원 사업’ 을 공고했다.지원대상은 중소‧중견‧대기업 등이 계획 중인 온실가스 감축관련 기술적‧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설비 구축과 연구 ...

thumbimg

암모니아 수소 전환하는 저비용 고효율 촉매 개발, 귀금속 루테늄 대체 가능
이재철 기자 2022.04.18
암모니아로부터 생산된 수소의 다양한 활용 개념도/한국화학연구원 제공한국화학연구원 채호정 박사팀이 암모니아를 수소로 전환하는데 필수적인 귀금속 루테늄을 대체할 수 있는 저비용 고효율 니켈 촉매를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현재 촉매를 이 ...

thumbimg

한 번 굳어지면 분자구조 변해 재가열 해도 녹지 않는 ‘열경화성 고분자’ 재활용 기술 개발
이재철 기자 2022.04.13
연구팀의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 개념도/부산대 제공부산대 응용화학공학부 김채빈 교수 연구팀이 타이어 고무처럼 한 번 굳어지면 분자구조가 변해 재가열을 해도 녹지 않는 ‘열경화성 고분자’를 재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했다.이에 따라 전량 폐기 ...

thumbimg

과학기술 인재 육성에 지난해 보다 3조원 가량 늘려 8조843억원 투입
이재철 기자 2022.04.09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올해 과학기술 인재 육성에 지난해 5조1359억원 보다 3조원 가량 늘린 8조843억원을 투입키로 했다.과기부는 지난 7일 제12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미래인재특별위원회를 열고 초격차 기술 개발과 핵심 ...

thumbimg

‘2022년 환경일자리 으뜸기업’ 응모자 4월 29일까지 모집
안조영 기자 2022.04.04
환경 분야에서 일자리를 창출한 기업을 대상으로 환경부장관상과 부상을 시상하는 ‘2022년 환경일자리 으뜸기업’ 응모자를 4월 29일까지 모집한다.지난해 고용증가율이 3% 이상인 환경산업체를 대상으로 50인 미만 사업장은 1명 이상, ...

thumbimg

고가 희토류 네오디뮴 사용량 30% 저감하고 상용 자석 수준 성능 구현한 영구자석 소재 기술개발
이재철 기자 2022.03.29
개발한 자석의 실제 미세구조(HAADF-STEM) 및 모식도./한국재료연구원 제공한국재료연구원(KIMS) 이정구·김태훈 박사 연구팀이 고가의 희토류인 네오디뮴(Nd)의 사용량을 약 30% 저감하고도 상용 자석(42M 등급) 수준의 성 ...

thumbimg

대부분 수입에 의존했던 연료전지 핵심 부품 탄소 복합체 분리판 제조 국산화 시동
이재철 기자 2022.03.28
발전용·건물용 연료전지 탄소 복합체 분리판/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대부분 수입에 의존했던 연료전지의 핵심 부품인 탄소 복합체 분리판 제조의 국산화에 시동이 걸렸다.㈜씨엔티솔루션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온에너지전환연구실 정두환 박사팀의 발 ...

thumbimg

고려대학교 옥용식 교수 공동팀, 폐PET병 열분해 CO2 포집·활용 기술 개발
이재철 기자 2022.03.24
폐페트병 활용한 CO2 포집 기술 도입 시 달성 가능한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고려대학교 제공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환경생태공학부 옥용식 교수와 홍콩시티대학, UNIST 등의 공동 연구팀이 폐PET병을 열분해하여 CO2를 포 ...

thumbimg

국내 공동연구팀, 기존 이차원 소재 생산기술 소개 및 문제점과 해결 방향 제시
이재철 기자 2022.03.21
2차원 소재의 다양한 생산기술과 응용 분야/성균관대 제공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구조물리연구단 성균관대 교수 이영희 단장팀과 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김기강 교수 연구팀(원요섭 연구원, 오창석 연구원), 숙명여대 김수민 교수 연구팀이 ...

thumbimg

국제적인 강소 물기업 육성하기 위한 ‘제3기 혁신형 물기업 10곳 선정’ 공모
정두수 기자 2022.03.15
환경부가 성장가능성이 높은 중소 물기업을 발굴해 국제적인 강소 물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제3기 혁신형 물기업 10곳 선정’에 나선다.지난 14일부터 4월 15일까지 진행될 혁신형 물기업 지정 공모를 통해 선정된 기업에 대해서는 5년 ...

thumbimg

5G통신용 전자파 90% 이상 흡수하는 극박의 복합소재 필름 세계 최초 개발
이재철 기자 2022.03.08
한국재료연구원(KIMS) 기능복합재료연구실 이상복, 박병진 박사 연구팀이 5G통신용 전자파를 90% 이상 흡수하는 극박의 복합소재 필름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향후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통신기기뿐만 아니라 자율주행차 레이더 등에 적용 ...

thumbimg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년도 국가R&D 투자방향 및 기준(안)’ 심의·의결
정두수 기자 2022.03.08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8일 제37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운영위원회를 열어 ‘2023년도 국가R&D 투자방향 및 기준(안)’을 심의·의결했다.국가R&D 투자방향은 4대 분야와 9대 중점 세부내용이다. 4대 분야에는 ...

thumbimg

입자 안에 여러 금속-유기물 골격체 소재 원하는 형태로 섞는 합성 기술 개발
이재철 기자 2022.03.04
입자 내에 각기 다른 종류의 MOF를 분포시킨 모습. (a)코어 쉘 구조, (b)골고루 섞인 형태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UNIST 제공울산과학기술원(UNIST) 화학과 나명수·민승규 교수 연구팀이 입자 안에 여러 MOF(금속-유기 ...

thumbimg

미세먼지 원인물질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 저감시킬 수 있는 기술 개발
안조영 기자 2022.02.25
한국중부발전 사옥한국중부발전과 한국과학기술원이 발전소 배출가스에서 나오는 미세먼지 원인물질을 저감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발전소 배출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NOx)과 황산화물(SOx)은 미세먼지 원인물질로 탈질 및 탈황설비가 ...

thumbimg

산업통상자원부, 올해 지역에너지센터 지원사업 50개 지자체로 확대
정두수 기자 2022.02.23
산업통상자원부가 22일 ‘지역에너지센터 협의회 준비위’를 발족하고 올해 지역에너지센터 지원사업을 50개 지자체로 확대키로 했다. 12개 지자체가 운영중인 지역에너지센터는 효과적인 지역에너지 정책 실현과 지역 에너지 갈등 예방·해결 등 ...

thumbimg

2022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전년 대비 22% 증가한 8410억 원 지원
정두수 기자 2022.02.03
산업통상자원부가 올해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으로 전년 대비 22% 증가한 8410억 원을 지원한다.핵심소재 개발과 소재-부품-모듈-수요 간 모든 단위기술을 묶는 ‘패키지형’ 과제에 7358억 원, 이종기술 결합과 업종 연계 및 단기 사업 ...

thumbimg

정부 올해 에너지 기술개발 전년 보다 10% 늘려 1조2천억 투입키로
안조영 기자 2022.01.26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2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탄소중립 미래를 여는 E-Tech 콘퍼런스’를 열고 전년 대비 10% 늘어난 1조2천460억 원을 투입하는 올해 에너지 기술개발 사업 추진 방향을 밝혔다.이 가운데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HEADLINE NEWS

에너지

+

IT·전자

+

환경·정책

+